티스토리 뷰

‘월 1200만원’ 벌어야 서울에 집 산다… 사상 최고 경신

김지훈입력 2023. 1. 3. 00:03수정 2023. 1. 3. 00:58, 지난해 3분기 통계
서울 주택구입부담지수 214.6
집값 오르면 출산율 2개월 내 뚝
사진=연합뉴스

서울에 집을 사기 위해서는 월 가구소득의 절반 이상을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에 쏟아부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이 아닌 전국으로 따져봐도 가구소득의 20% 이상을 빚 갚는 데 써야 집을 살 수 있었다. 집값은 하향세에 들어섰지만 대출금리가 배 가까이 오르고 가계소득은 제자리걸음을 계속한 탓이다.

2일 한국주택금융공사 산하 주택금융연구원이 발표한 2022년 3분기 주택구입부담지수 통계에 따르면 전국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전 분기 대비 4.4포인트 오른 89.3을 기록했다.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중위가구가 표준대출을 받아 중간 가격의 집을 구매했을 때 대출 상환 부담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이 지수는 대출을 상환하기 위해 벌어야 하는 소득(대출상환가능소득)을 중위가구소득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해 산출한다. 지수가 100이면 가구소득의 25%가 대출 원리금 상환에 들어간다는 계산이 나온다. 지수가 커질수록 부담이 늘어난다는 의미다.


이번에 발표된 주택구입부담지수는 2004년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2010년부터 10여년간 50~60포인트 전후로 횡보하던 지수는 2020년 1분기부터 급속도로 올라 2021년 4분기부터 작년 3분기까지 4분기 연속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가장 크게 올랐다. 2021년 말까지만 해도 200을 넘기지 않았지만 지난 3분기에는 214.6까지 급등했다. 월 가구소득의 54%를 빚 상환에 쏟아부어야 간신히 서울에 집을 살 수 있었다는 의미다. 서울 다음으로는 세종(134.6) 경기(120.5) 인천(98.9) 부산(88.1) 등이었다.

대출금리 상승도 지수 폭등에 영향을 미쳤다. 연구원 통계에 따르면 지수 산출에 이용되는 표준대출 금리는 2020년 3분기까지만 해도 연 2.44%에 그쳤지만 지난해 3분기에는 4.79%로 배 가까이 올랐다. 반면 같은 기간 중위 가구소득은 535만원에서 561만4000원으로 4.9% 오르는 데 그쳤다. 5%대 물가상승률을 고려하면 사실상 소득이 줄어든 것이나 마찬가지다. 소득은 제자리걸음인데 대출금리는 치솟으니 집을 사는 부담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갈수록 커지는 주택구입 부담은 저조한 출산율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국토연구원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주택가격이 1% 상승할 때마다 향후 7년간 합계출산율이 0.014명 감소했다. 특히 1990년대에는 주택 가격이 올라도 그 충격파가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기까지 10개월 이상 걸렸지만 2010년대 중반부터는 주택가격이 오르면 1~2개월 안에 출산율 하락으로 이어졌다.

박진배 부동산시장연구센터 부연구위원은 “저출산 현상을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사회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수요자가 부담 가능한 수준의 주택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훈 기자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4/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