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건강하게 나이 들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이 생수를 구입하고 있다. /뉴스1

                                                건강하게 나이 들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일(현지시각) 외신에 따르면 미국 국립 심장·폐·혈액 연구소(NHLBI) 연구팀은 미국 성인 1만1255명의 30년 치 건강 데이터를 확보해 생물학적 노화 및 질병과 수분 섭취의 관련성을 분석했다. 대상은 시작 당시 혈중 나트륨 농도가 정상범위에 있던 사람들이며 당뇨 등을 앓는 기저질환자는 제외했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이 50대와 70~90대에 각각 측정한 수축기 혈압, 콜레스테롤, 심장·호흡기·대사 기능 등 총 15가지 지표를 확인했다. 그 결과 혈중 나트륨 수치가 가장 높은 그룹은 중간 정도인 그룹보다 만성질환에 더 많이 걸렸고 생물학적 노화가 더 빨리 진행됐다. 젊은 나이에 사망할 위험도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는 혈중 나트륨 농도가 142mEq/L(리터당 밀리그램당량) 이상이면 137~142mEq/L인 경우보다 대사 및 심혈관 건강과 폐 기능 등으로 측정한 생물학적 노화가 10~15% 빨랐다. 게다가 144mEq/L 이상이 될 때 그 수치는 50%로 뛰었다.

또 144.5~146mEq/L인 사람을 137~142mEq/L인 사람에 비교하자 조기 사망 위험이 21%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혈중 나트륨 농도가 142mEq/L 이상인 그룹은 폐질환·당뇨·치매·심부전·뇌졸중·심방세동 같은 만성질환에 시달릴 위험이 무려 64%나 높았다.

 

혈중 나트륨 농도는 소금 섭취량뿐 아니라 마시는 물양에 따라 달라진다. 수분 함량이 높은 과일이나 채소 등으로도 조절할 수 있다. 연구팀의 나탈리 드미트리에바 박사는 “이같은 결과는 적절한 수분 섭취가 노화를 늦추고 질병 없는 삶을 연장해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적당한 수분 섭취의 중요성은 이미 국·내외 많은 연구를 통해 입증된 바 있다. 중국 광저우에서 실시된 한 연구에 따르면 물을 적게 마실 때 콩팥 결석 위험이 커진다. 체내 수분이 적어 소변이 농축되면 소변 속 칼슘과 요산 등이 뭉쳐져 결석이 잘 발병한다는 것이다.

 

또 프랑스에서 중년 남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물을 충분히 많이 마시는 사람이 적게 마시는 사람보다 고혈당증 발병 위험이 최대 79% 낮았다. 이외에도 수분 섭취가 부족하면 방광암·대장암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도 있었다

/////////////////////////////////////////////////////////////////////////////////////////////////////////////////////////////////////////////////////////////////////////

‘침묵의 살인자’ 췌장암…원인 찾았다

백지연 매경닷컴 기자(gobaek@mk.co.kr)입력 2023. 1. 2. 22:03
고려대, 서울대, 서울대의대, 서울대병원, 아주대 공동 연구팀이 췌장암 환자들의 발병 원인들을 정밀하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사진 제공 = 픽사베이]
국내 연구진이 췌장암 환자들의 발병 원인을 정밀하게 구분할 수 있게 됐다. 췌장은 여러 장기에 둘러 쌓여 있어 암 발견이 쉽지 않아 ‘침묵의 살인자’라고 불린다.

2일 고려대학교 유전단백체연구센터(교육부 핵심연구지원센터) 이상원 교수 연구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포스트게놈다부처유전체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뤄진 협력연구 결과가 암 연구 분야의 최상위 학술지인 ‘네이처 캔서(Nature Cancer, IF=23.19)’ 지난해 12월 22일(한국시간 12월 23일 오전)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췌장암은 전체 환자 중 약 10% 정도만 완치가 가능하다. 나머지 90% 이상의 환자는 현재 치료방법인 수술 및 항암치료에 모두 불응성인 질병이다. 수술만이 완치를 기대할 수 있으나, 해부학적 특성상 주요 혈관 침범이나 전신 전이로 발견돼 80% 환자에게서는 완치가 불가능한 상태에서 발견된다.

 

기존의 췌장암에 대한 대부분의 기초 실험은 소수의 암세포주를 통한 실험이면서, 유전체 변이와 기능 탐색이 대부분이어서 치료 불응성을 가진 환자와 그 원인을 밝혀내지 못했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국내를 대표하는 유전체, 단백체 및 생물학적 기전 연구 분야의 국내 최고의 기초연구자들과 췌장암 임상의사와의 협력연구를 진행했다. 그동안 200명 이상의 환자에서 추려진 150명의 췌장암 환자로부터 암조직과 혈액 시료를 얻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NGS)기반 유전체 분석과 질량분석기반 단백체 분석도 동시 실시했다.

그 결과 약 1만2000여 개의 체세포 변이들 중에서 췌장암의 발병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알려진 변이 유전자(KRAS, TP53, CDKN2A, SMAD4, ARID1A, TGFBR2, RB1)를 찾아냈다. 또 이들 변이와 인산화 정도간의 높은 상관성을 밝혀 유전자들이 췌장암 발병과 관련된 중요한 신호전달경로에 관여하고 있음을 입증했다.

연구를 이끈 고려대 유전단백체연구센터 이상원 교수는 “이번 연구는 세계적으로 가장 치사율이 높은 치료불응성 췌장암에서 기존 치료가 듣지 않는 이유를 유전단백체 분석으로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밀 진단과 맞춤형 치료방법 개발과 적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4/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