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사철 文史哲의 추상력과 시서화의 상상력

약산면 망봉 보와대에서권치남

본문 기타 기능

오늘 첫 시간입니다. 공부는 한자로 工夫라고 씁니다. ‘은 천과 지를 연결하는 뜻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는 천과 지를 연결하는 주체가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공부란 천지를 사람이 연결하는 것입니다. 갑골문에서는 농기구를 가진 성인 남자로 그려져 있습니다. 인문학의 문 은 문 (무늬)과 같은 뜻입니다.

 

자연이란 질료에 형상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그것을 사람이 한다는 뜻입니다. 농기구로 땅을 파헤쳐 농사를 짓는 일이 공부입니다.

 

공부는 살아가는 것 그 자체입니다. 우리는 살아가기 위해서 공부해야 합니다. 세계는 내가 살아가는 터전이고 나 또한 세계 속의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공부란 세계와 나 자신에 대한 공부입니다. 자연, 사회, 역사를 알아야 하고 나 자신을 알아야 합니다. 세계인식과 자기성찰이 공부입니다.

 

옛날에는 공부를 구도 求道라고 했습니다. 구도에는 반드시 고행이 전제됩니다. 그 고행의 총화가 공부입니다.

 

공부는 세계와 인간을 잘 알기 위해서 합니다. ‘알기 위해서는 사실과 진실, 이상과 현실이라는 다양한 관점을 가질 수 있어야 함은 물론입니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추상력과 상상력의 조화입니다. 추상은 복잡한 것을 간단하게 압축하는 것이고, 상상력은 작은 것으로부터 큰 것을 읽어내는 것입니다. 문사철 文史哲이 바로 개념과 논리로 압축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복잡한 문제에 직면했을 때 가장 필요한 능력이 추상력입니다. 문제의 핵심이 무엇인가를 정확하게 집어낼 수 있는 추상력이 긴급히 요구됩니다... 우리가 공부하는 것은 핵심을 요약하고 추출할 수 있는 추상력을 키우기 위한 것입니다. “문제를 옳게 제기하면 이미 반 이상이 해결되고 있다고 합니다.

 

추상력과 나란히 상상력을 키워야 합니다. 작은 것, 사소한 문제 속에 담겨 있는 엄청난 의미를 읽어내는 것이 상상력입니다. 한 마리의 제비를 보면 천하에 봄이 왔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우리가 공부하는 이유는 이 두가지 능력, 문사철 文史哲의 추상력과 시서화의 상상력을 유연하게 구사하고 적절히 조화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입니다.

 

옛날 사람들도 문사철과 시서화를 함께 연마했습니다. 이성 훈련과 감성 훈련을 아울러 연마하게 했습니다. 중요한 것은 추상력과 상상력을 하나하나 키우는 것이 아니라 이 둘을 적절히 배합하여 구사할 수 있는 유연함입니다. 그런 공부가 쉬운 일이 아님은 물론입니다. 그러한 공부는 머리로 하는 것이아니라 가슴으로 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사고 思考의 문제가 아니라 품성 品性의 문제입니다. 생각하면 시적 관점과 시적 상상력이 그러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나의 개인적인 느낌입니다만 이공계나 자연과학 전공자들이 구사하는 언술의 특징은 더 많은 팩트를 제시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주장에 도움 되는 더 많은 팩트를 쌓아가는 방식입니다. 수평면을 확장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다른 방식의 언술도 얼마든지 있습니다. 자기 주장을 그와 반대되는 것으로 대비함으로써 그것의 특징을 부과시키기도 하고, 시간적 변화 속에 그것을 배치함으로써 그 의미를 확장하고 시각화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마치 시적 관점처럼 동서남북 춘하추동의 다양한 시각에서 보여주는 방식입니다. 를 이야기하면서 우리가 간과하지 말아야 하는 것은 언어의 왜소함입니다. 그 왜소함을 뛰어넘는 다양한 방식을 승인하는 것이 어쩌면 시적 레토릭(rethoric 수사법)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미 일상생활에서 이러한 레토릭을 다앙하게 구사하고 있습니다. ‘귀가 어둡다고 하고 눈이 높다고 합니다. 이러한 시적 감수성을 키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를 많이 읽어야 합니다. 지금은 시 읽는 사람이 많지 않습니다. 암송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노래는 물론 많이 하지만, 노래는 이미 시가 아니겠끔 바뀌고 말았습니다.

 

초등학생들과 시 암송 모임을 하는 선생님이 계십니다. 비싼 과외 못하는 애들을 모아 놓고 시를 암송하는 공부 모임입니다. 그중 한 아이의 학교 소풍 때였다고 합니다. 학생들이 앞에나와서 각기 장기자랑을 하는 순서였다고 합니다. 다른 애들은 나와서 유행가도 부르고 유명 그룹의 춤도 멋지게 흉내 내는 등 화려한 장기자랑을 펼쳐 보였습니다. 그 아이 차례가 되었습니다. 어쩔 수 없이 시 암송 모임에서 공부한 윤동주의 서시를 암송했다고 합니다.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놀랍게도 그것이 그날을 석권했음은 물론이고 그후 그 가난한 아이가 일약 스타가 되었다고 합니다.

 

시가 없어지는 세월 속에서 우리가 시를 멋지게 만날 수 있는 방법이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신영복, 담론중에서

[출처] 문사철 文史哲의 추상력과 시서화의 상상력|작성자 빛 따라 길 따라

/////////////////////////////////////////////////////////////////////////////////////////////////////////////////////

학과 종교

Religion 과목 3개 수강 후: “종교수업은 삶을 어떻게 바라보는지에 대한 관점을 가르친다. 기독교인의 성경은 어떻고 이슬람의 역사를 배우는 게 아니라 세상의 다양한 세계관과 왜 그러한 시각을 갖게 되는지 논리적으로 설명해 주는 학문이다. “종교수업을 통해서 물론 에 대해서도 말하지만(미국계 독일인 철학자인 Paul Tillich에 따르면 이란 알려고 할수록 더 모른다는 것이다) 시간과 공간을 포함한 하루하루 개인이 속함 세상을 바라보는 이해의 틀을 교육하는 학문이라 인생을 고속도로라고 한다면 내가 타고 있는 차, 자동차 운전법, 교통법, 옆 차 운전자와의 심리전이 아니라 내가 달리고 있는 그 아스팔트 바닥을 재건해주는 학문인 것이다.

 

고등학교 때 철학 전공한다는 아이 있어서 철학하면 이름 짓는 거야?(철학관=이름 지어주는 곳이라고 생각함)이라고 물어봤던 내가 황당스럽다.. 무식했어라. 인트로 수업이라 거의 겉핥기 하고 있는 거겠지만 존 롤스, 데카르트, 노직, 등 큰 줄기를 맛본 현재 내가 생각하기에 철학은 인간이 다른 인간과 어떻게 가장 효율적으로 잘 살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을 토론하는 학문 같다. 그런데 철학은 애초에 사고 과정부터 검열하고 논리적으로 생각의 흐름을 좇는 지능적 운동인 것 같아 사실상 생각을 항상 하는 인간이라면 정치, 경제, 문화, 사회, 과학, 예술 등 모든 인간 활동에 적용될 수 있는 사고의 회로를 논리 정연하게 다듬어주는 기능적 훈련과정인 것 같다.

 

특정하게 겉으로 드러난 학문이라기보다 인간의 사고 활동 과정에 관여한다는 점에서 종교와 비슷할 수 있겠지만 철저히 '생각하는 과정'이라는 관점에서만 본다면 철학이 종교를 포함하고 있으며 종교는 '생각하는 과정'을 논리적으로 훈련시키는 학문이 아니라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는지에 대한 개인의 세계관, 가치관을 공부한다는 데에 차이점이 있는 것 같다.

 

존 롤스의 정의사회, 벤담, 밀의 공리주의를 읽으면서 내가 막연히 바랬던 무정부주의(anarchism)에 대한 갈망이 더 커졌으나 이에 대해 support 하려면 먼저 정치, 사회 포함한 철학을 좀 더 깊이 파야 논리적으로 근거를 제시할 수 있겠다.

 

여기에다 추가로 종교적, 신학, 영적 관점까지 추가한다면 무언가 새로운 발견이 나올 것 같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4/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